본문 바로가기
공시담당자의 재테크/1일 1경제

가계순저축률이란?(feat 경제용어 공부하기)

by 청춘거지 2023. 7. 8.

목차

    가계순저축률이란 무엇일까?

    가계순저축률은 쉽게 말하면 가족이 얼마나 돈을 모아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가계순저축률을 계산하고 이해하는 것은 가정의 경제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계순저축률이 높을수록 더 많은 돈을 모아둘 수 있고, 긴급한 상황이나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너무 뻔한 소리같은데 생각보다 가계부를 사용할때 인지하고 있으면 좋다.

    가계순저축률을 쉽게 이해하기! 

    가족 A는 한 달 동안 용돈으로 50,000원을 받았고, 생활비로 30,000원을 사용했다. 가족 A의 가계순저축률은 얼마일까?

    가계순저축률은 용돈에서 생활비를 뺀 후, 그 값을 용돈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수식은 아래와 같다.

    가계순저축률 = (용돈 - 생활비) / 용돈

    우리가 예로 든 가족 A의 경우:
    용돈 = 50,000원
    생활비 = 30,000원

    용돈에서 생활비를 뺀 값은 50,000원 - 30,000원 = 20,000원

    이제 이 값을 용돈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가계순저축률 = 20,000원 / 50,000원 = 0.4

    따라서 가족 A의 가계순저축률은 0.4, 즉 40%이다.

    투자에 있어, 가계순저츅률을 어떻게 활용할까?

    딱히 활용할 것은 없지만, 나의 자금에서 투자비율이 얼마일지 활용하면 좋다.

     

    가계순저축률 대비 투자 비율 = (투자 금액 / 가계순저축) * 100

    이 지표를 통해 가계의 투자 성향과 저축 능력을 파악해야한다.

    예를 들어, 가계순저축률이 30%이고 투자 금액이 10,000원이라면 가계순저축률 대비 투자 비율 = (10,000원 / 30%) * 100 ≈ 33,333원

    이 경우, 가계의 가계순저축률 대비 투자 비율은 약 33,333원으로 가계가 자금을 얼마나 투자에 할당하고 있는지, 투자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 파악하자. 가계가 투자에 더 집중하고 있다면 투자 비율이 높을 것이며, 가계순저축률 대비 투자 비율이 낮은 경우에는 저축 능력을 강화하거나 자금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항상 투자 포트폴리오는 구상해놓고 그대로 실천하는 습관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