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7일 와이즈버즈의 주가가 상한가에 도달하였다. 메타의 스레드 관련주로, 상한가를 쳤으니 한번 보자 참고로 스레드 관련주로 상한가는 와이즈버즈와 플레이디가 상한가를 도달하였다.

목차
1.와이즈버즈 회사 소개 및 실적
와이즈버즈는 RTB 매체 (페이스북, 구글 등)를 기반으로 온라인 광고 대행, 모바일 광고의 기획, 공급효과분석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광고주를 대신하여 해당 광고의 전략에서부터 광고 집행, 관리, 분석, 이슈 대응, 기술적 지원, 광고 소재 제작 및 데이터 등 디지털 광고 전 과정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 현대차/기아를 메인으로 하고 있는 이노션(현대 자회사)은 동사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 사 중 하나다.
보면 알다시피 1분기 매출액은 저조한편이다.
2. 투자 모멘텀
와이즈버즈는 메타의 스레드 테마로 엮여있는데, 올해도 1Q를 보았을때, 23년 매출액은 비슷한 수준으로 보여진다.
OPM이 근데 왤케 안좋을까 훔,, 참고로 OPM은 영업이익율을 말한다. 스레드 관련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1099259.html
스레드 관련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스레드의 경우, 인스타그램에서 인기 있는 ‘해시테그’와 ‘다이렉트 메시지’(DM) 등의 기능은 없지만, 트위터와 마찬가지로 한 게시물당 최대 500자까지 쓸 수 있고, 외부 웹사이트 연결 링크와 사진·동영상 등을 함께 올릴 수 있다. ‘좋아요’ ‘공유’ 등의 기능도 트위터와 흡사하다.
‘스레드’ 초반 기세 압도…트위터 3분의 1까지 따라붙어
하루 반 만에 7천만명 가입
www.hani.co.kr
근데 한국에선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사용유저가 트위터 유저보다 많을텐데, 세계적으로 봤을떄는 모르지만 과연..
tip : opm=영업이익율은 영업이익*100/매출액
5. 담당자의 의견
과연 진짜 스레드로 인하여 기업의 매출액이 오를까는 의문문이다. 솔직한 마음으론 잠깐 지나가는 테마 같은데 어쩃든 투자하신분들을 위하여 말씀드리면, 자기의 익절구간에 도달했으면 분할매도를 시작하기를 추천한다. 과연 트위터를 경쟁할 대항마가 될지, 또 매출액이 반영될지는 아직 매수 못한 투자자는 지켜보자
*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오롯히 본인에게 있습니다
'공시담당자의 재테크 > 공시 및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바이오텍(010600)에 2탄! 시황공부해보자 (feat 리튬 관련 공시 정말 의무사항 아닌가요?) (0) | 2023.07.15 |
---|---|
큐라티스(348080)에 대하여 분석해보자! (feat 주가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3.07.12 |
다산네트웍스(039560)에 대하여 분석해보자! (feat 주가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3.07.07 |
삼성중공우 주식을 분석해보자(feat.공시담당자) (0) | 2023.07.07 |
노을 주요사항보고서(유무상증자결정) (주가전망 feat.공시담당자)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