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담당자의 재테크/1일 1경제

가계부실지수(HDRI)란?

by 청춘거지 2023. 6. 23.

목차

    가계부실위험지수란 ?

    - 가계부실 위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를 쉽게 이해하기! 

    중학교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가방에 돈이 얼마나 들어있는지를 나타내는 가방 속 돈 지표가 있다고 합시다.

    이 가방 속 돈 지표를 가방돈지수(BDI)라고 부르겠습니다. 가방돈지수는 0에서 100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숫자가 높을수록 가방 안에 돈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이 가방돈지수(BDI)를 예시를 통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 A와 학생 B가 있습니다. 학생 A의 가방돈지수(BDI)가 80이라면, 그의 가방 안에는 많은 돈이 들어있는 것이겠죠? 그리고 학생 B의 가방돈지수(BDI)가 20이라면, 그의 가방 안에는 돈이 별로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가계부실위험지수(HDRI)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는 가족의 경제 상태와 가계부채, 이자 지출 등을 고려하여 가계의 부실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수를 통해 가계가 재정적으로 안정되어 있는지 아니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도 0에서 100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숫자가 높을수록 가계의 부실 위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가계부실위험지수(HDRI)가 70인 가구 A와 30인 가구 B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가구 A의 경우 HDRI가 70이므로 가계의 부실 위험 정도가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계의 빚이 많거나 이자 지출이 많아서 경제적으로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가구 B의 경우 HDRI가 30이므로 가계의 부실 위험 정도가 낮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계의 부채가 적고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

    투자자들은 경제적인 불안정성, 소비 관련 산업, 부동산 시장 변동성, 금융 기관 리스크 등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해야합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621_0002347049&cID=15002&pID=15000

     

    한은 "가계대출 늘어난다…금융 취약성 다시 상승"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최근 부동산 경기 회복에 가계와 자영업자 대출이 늘며 금융 취약성이 다시 커지고 있다

    www.newsis.com

     

    위의 뉴스처럼 위험지수를 꾸준히 체크하며, 가장 큰 가계부실위험지수가 높아지면 금융 기관들도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들은 대출 상환 불이행의 위험이 증가하고, 부실채권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자금 조달 및 자본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지표들을 체크하며 꾸준히 투자하는 습관을 기릅시당 :-)